용인 전원주택 합성목 데크 시공 후기
페이지 정보
본문
여러분 안녕하세요!
우드24입니다~
오늘은 용인에 있는
전원주택에 합성목 데크
시공 현장을 보여드리려 해요.
더욱 자세한 시공 과정은
아래 블로그를 통해서도
확인하실 수 있어요^^
자 그럼 먼저 시공 전 현장 모습부터
함께 보실까요~?
시멘트로 포장해둔 테라스 공간에
방수 페인트로 칠한 상태로 사용하셨는데
페인트칠이 벗겨지면서 테라스 공간이
너무 보기 싫어졌다고 합성목 데크 시공을
의뢰해주셨습니다~!
합성목을 올리기 전
기초틀이 되는 기초하지를
먼저 잡아줘야겠죠~
아연각관을 앙카와 화스너로 박아
테라스 시멘트 바닥에
고정해줬어요.
기초하지 잡을 때
중요한 것들 기억하시죠?
멍에와 장선 간격,
합성목이 두개 이어지는 곳은
이중장선으로 설치하기,
그리고 수평은 완성까지
계속 확인하기.
간단한 것 같지만
합성목 데크를 하자없이 시공하는
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어요!
전원주택 뒷마당은
앞마당과 달리 베란다와 텃밭 사이
ㅡ자 합성목 데크로 시공했어요.
합성목 데크용 아연각관 기둥을
세울 땐 바닥에 세워 고정할 수 있지만
이렇게 턱 가장자리 바깥쪽으로도
고정할 수 있답니다.
앞마당과 뒷마당의 합성목 데크
설치 면적과 모양이 다르다보니
멍에와 장선의 방향이 달라졌어요.
시공 시작 전 설계 단계에서
현장 공간의 특성과 너비 등을
고려하여서 멍에와 장선 간격을 정하고
공사를 진행해요.
그럼 합성목까지 올려서 고정한
뒷마당 데크부터 완성 모습을
보여드릴게요~
측면도 깔끔하게 마무리됐고
지면과 사이로 틈이 있지도 않고
벽에 있는 배수관의 위치까지 고려해
맞춤으로 잘 완성됐어요.
전원주택 합성목 데크 시공 시
상판 면적 뿐만 아니라
측면 넓이도 따로 고려하여
비용 계산에 포함하셔야 합니다!
이제 ㄷ자로 완성된
앞마당의 모습을 보여드릴게요.
앞마당은 대문을 열고 들어오면
테라스 공간까지 판석으로 깔린
길 이외의 공간은 잔디가 깔려있어요.
이렇게 마당이 잔디로 이뤄진 곳은
비가 오거나 눈이 오면
진흙이 생겨서 마당을 거쳐
전원주택 내부로 들어가는 길이
깔끔하게 관리되기 어렵고
현관도 지저분해질 수 있어서
테라스를 꼭 만드시는 것을 추천드려요.
내구성이 좋고 물청소만으로
깔끔하게 관리 가능한
합성목 데크가 이러면에서
참 좋다고 할수 있죠~
테라스에 만드는 합성목 데크는
현관문 높이를 기준으로
바닥이 동일한 높이가 되게 만드는데요.
대신 턱과의 단차는 좀 있어야 해요.
그리고 아연각관으로 기초하지를 잡고
그 위에 합성목을 올리면
아무래도 그만큼 데크 높이가 올라오니
이런 부분도 같이 고려해주세요~
페인트 칠이 벗겨져 있던
테라스 바닥을 합성목 데크로
탈바꿈 시키니 집 전체가
훨씬 정돈되어 예뻐 보이더라구요.
피스형 합성목 데크가
고정이 튼튼하게 잘 되기 때문에
오래도록 사용하실 수 있게
클립형보단 피스형을 좀 더
추천드리는 편인데요~
피스 자국이 보기 싫어서
깔끔하지 않을까봐 걱정하는 분들이
꽤 많으시거든요.
하지만 피스 고정 위치를 미리
표시하여 일렬로 맞추고
피스를 박는 구멍을 먼저 뚫고
그 자리에 피스를 박으면
아주 깔끔한 합성목 데크를
완성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
않으셔도 괜찮습니다^^
합성목 데크 시공을 원하신다면
언제든 우드24로 연락주세요!
데크 시공 전문팀이 자세하고
친절하게 상담해드릴게요~!
- 다음글야외 테라스 합성데크 시공 후기(경기 광주) 25.07.23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